[창간 30주년 특집-ICT한류]UN이 인정한 경쟁력, 한류 대표 브랜드로

전자정부가 한국의 대표 브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우리나라 전자정부가 UN 평가 2회 연속 1위를 차지하면서 세계에서 우수성을 인정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등 정부부처도 전자정부 수출을 위해 두 팔을 걷어부치고 있다. 삼성SDS·LG CNS·SK CC·현대정보기술 등 주요 IT서비스기업도 국내에서 전자정부를 구축한 경험을 기반으로 해외시장 공략에 적극 나서고 있다.

정부와 민간이 적극적으로 전자정부 수출에 나서면서 작년 실적은 지난 2002년 대비 2300배 증가하는 엄청난 성과를 거뒀다. 전자정부 수출 분야도 과거 대비 다양해졌다. 전자정부 수출을 위한 정부 간 협력도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정부 수출이 양적으로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성장하려면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있다.

◇전자정부 수출, 10년만에 2300배 증가=우리나라 전자정부 수출 실적은 2011년 기준 2억3566만달러이다. 지난 2002년 10만달러를 기록했던 것에 비하면 엄청난 규모로 확대된 셈이다. 우리나라 전자정부 구축이 활발해진 2007년에 비해서도 24배나 증가했다. 올해는 3억달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전자정부 수출이 수치만 늘어난 것은 아니다. 과거 일부 전자정부 시스템에 국한됐던 해외 수출이 최근 들어 여러 분야로 다변화 됐다. 관세·조달·특허 등 국제적으로 범용성이 있고 표준화 가능한 분야는 전자정부 핵심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정부전산센터·출입국관리·재난관리 등은 새로운 수출영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외에 행정망·치안·지방정부·국세·국가 물류 정보시스템 등도 다양한 영역에서 해외 수출이 이뤄지고 있다.

수출지역도 다변화하고 있다. 과거 베트남 등 일부 동남아시아에 한정됐던 전자정부 수출 대상국이 인도네시아·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전반으로 확대됐다. 도미니카공화국·에콰도르·코스타리카 등 중남미 국가도 전자정부 수출의 주력 대상 지역이다. 말리·모잠비크·모로코 등 아프리카에도 해외수출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에는 불가리아 등 EU 가입 국가로도 확대하고 있다.

정부는 수출이 활발한 전자정부 10대 브랜드를 선정했다. 10대 브랜드는 △국세청 종합국세시스템 △조달청 전자조달시스템 △특허청 인터넷특허시스템 △관세청 전자통관시스템 △행정안전부·경찰청 SOS 국민안심서비스 △행정안전부 정부통합전산센터 △우정사업본부 우편물류통합정보시스템 △기획재정부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 △소방방재청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 △법무부 출입국심사시스템이다. 이들 10대 브랜드의 수출비중은 전체 전자정부 중 65%에 해당된다.

◇IT서비스 기업, 해외수출 첨병 역할 수행=전자정부 해외수출은 정부 지원을 받아 IT서비스 기업이 적극 수행하고 있다. 삼성SDS·LG CNS·SK CC 등 대형 IT서비스기업의 해외 매출은 큰 폭으로 늘어났다. 늘어난 해외 매출에는 전자정부 수출이 한 몫 하고 있다.

삼성SDS는 베트남·몽골·코스타리카에 전자도달시스템을 구축, 완료한 데 이어 최근 튀니지에서도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철도 역무자동화(AFC) 해외 수출도 활발하다. 지난 2002년부터 중국 광저우를 시작으로 베이징·우한·톈진·칭다오 사업을 수행했다. 인도 델리와 벵갈루루, 자이푸르에도 AFC를 구축한 데 이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사업도 수주했다. 스리랑카 전자정부 시스템도 구축했다.

LG CNS는 서울시 교통카드시스템 구축 경험을 기반으로 뉴질랜드 웰링턴과 오클랜드 사업을 완료했다.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와 콜롬비아 보고타 사업도 수주했다. 몽골 울란바타르 긴급구조망(EIN)시스템과 지식재산권현대화시스템 구축 사업도 수행했다. 중동지역 전자정부 수출도 이어졌다. 바레인 전자정부청이 발주한 법인등록·인허가시스템(BLIS) 구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모로코 사이버안전센터 구축 사업을 수주해 최초로 아프리카 공공보안 시장에도 진출했다.

SK CC는 인도네시아 쓰나미 조기 재해 경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수주한 데 이어 필리핀 재해방지 조기경보 및 대응시스템 구축 사업도 진행했다. 몽골 관세청 전자무역시스템과 국가등록정보 완비사업, 방글라데시 통계청 시스템 등 사업도 진행했다. IT서비스 불모지인 카자흐스탄의 우편물류시스템과 아제르바이잔 지능형교통시스템(ITS) 시스템도 구축했다. 키르키즈스탄 우편 물류 현대화 컨설팅 사업과 아제르바이잔 주소등록정보시스템 구축 사업도 전자정부 수출 사례다.

현대정보기술도 베트남 정부 데이터센터사업 수주를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베트남 정보통신부 관계자가 현대정보기술 데이터센터를 벤치마킹했다. 베트남 다낭시 전자정부 수주를 필두로 하노이, 호치민 등 지방정부 사업 수주도 추진하고 있다.

◇질적 성장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 많아=큰 폭으로 전자정부 수출이 늘어나고 있지만, 질적 성장을 위해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우선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에 치중돼 있는 전자정부 수출을 다양화해야 한다. 해당 국가 정부 예산이나 세계은행 등 자금 지원으로 발주되는 사업 수주를 위해 전자정부 홍보 및 IT서비스 기업의 경쟁력이 제고돼야 한다. 바레인의 BLIS 구축 사업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 사업은 바레인 정부 자체 예산으로 발주된 사업으로 LG CNS가 16개 글로벌 기업과 경쟁해 수주했다.

저개발 국가에 편중된 수출지역도 질적으로 다변화시켜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 전자정부 수출 불모지인 중동지역과 유럽 시장 공략을 강화해야 한다.

중동 지역은 세계를 강타한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이 없는 유일한 지역이다. 최근 유가 상승으로 투자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여서 한국 전자정부 수출이 기대된다. 뒤늦게 EU에 가입한 동유럽 국가도 전자정부 수출 대상이다. 이들 국가는 서유럽 국가에 비해 전자정부 구현이 늦다. 더욱이 EU 수준으로 정보화 체계를 갖춰야 하는 상황이어서 전자정부 사업이 잇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현지에 맞는 전자정부 커스터마이징 역량도 필요하다. 국내 구축된 전자정부를 기반으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 표준화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해서는 표준화 체계를 갖춰 매번 개발할 때마다 새로 개발하는 불필요한 비용 및 시간을 줄여야 한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

This entry was posted in KR and tagged by News4Me. Bookmark the permalink.

About News4Me

Globe-informer on Argentinian, Bahraini, Bavarian, Bosnian, Briton, Cantonese, Catalan, Chilean, Congolese, Croat, Ethiopian, Finnish, Flemish, German, Hungarian, Icelandic, Indian, Irish, Israeli, Jordanian, Javanese, Kiwi, Kurd, Kurdish, Malawian, Malay, Malaysian, Mauritian, Mongolian, Mozambican, Nepali, Nigerian, Paki, Palestinian, Papuan, Senegalese, Sicilian, Singaporean, Slovenian, South African, Syrian, Tanzanian, Texan, Tibetan, Ukrainian, Valencian, Venetian, and Venezuelan news

Leave a Reply